2026 최저시급은 10,320원입니다. 기본 월 환산 시간 209시간(주 40시간 기준)으로 자동 계산되며, 필요하면 시급·주당 근로시간·주휴수당 포함 여부를 바꿔 세전 예상 월급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최저시급 월급 계산기를 공유드립니다. 확인하세요!

💸 2026 최저시급 월급 계산기
시급(원)주당 근로시간(시간)주휴수당 포함 예 (통상 월 209시간 환산) 아니오 (순수 근로시간만) 월급 계산하기 🔢
🕒 월 환산 시간: 209 시간
💰 예상 월급(세전): 2,156,880 원
계산 방식: 시급 × 월환산시간 · 주40시간 기준 209시간
ℹ️ 기준과 해설
① 209시간은 왜 쓰이나요?
월 환산시간은 연간 주수(52주)를 12개월로 나눈 값(약 4.333주/월)을 이용해 구합니다.
주 40시간 근무의 순수 근로시간은 40 × 52 ÷ 12 ≈ 173.3시간입니다.
여기에 주휴수당(주 1일 유급)을 반영하면 8 × 52 ÷ 12 ≈ 34.7시간이 추가되어 합계 약 208~209시간이 됩니다.
인사·급여 실무에서는 “월 209시간”을 표준치로 사용해 시급↔월급을 비교·환산합니다.
② 주휴수당의 기본 요건
- 해당 주에 소정근로일을 개근했고
- 주간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면
- 주 1일분 평균 근로시간에 해당하는 임금을 유급휴일(주휴)로 받습니다.
예: 주 5일제·하루 8시간(주 40시간) 근로자는 주휴 8시간을 인정받아 월 환산 시 약 209시간을 적용합니다. 반대로 주 15시간 미만이면 주휴수당이 발생하지 않아 월 환산은 순수 근로시간만 반영됩니다.
③ 월급↔시급 변환 공식
- 시급 → 월급(세전): 시급 × 월환산시간(보통 209)
- 월급 → 시급: 월급 ÷ 209
예: 시급 10,320원 × 209시간 = 2,156,880원. 반대로 월급 2,156,880원을 받는다면 2,156,880 ÷ 209 ≈ 10,320원/시간입니다.
④ 근무 형태별 환산법(주휴 포함 시)
다양한 스케줄에서도 원리는 같습니다. 주당 시간을 먼저 산정하고, 주휴 요건을 충족하면 주 1일분(평균) 시간을 더한 뒤 52 ÷ 12를 곱합니다.
- 주 24시간, 주 4일 근무(하루 6시간): 주휴 6시간 인정 → (24 + 6) × 52 ÷ 12 = 130시간 시급 10,320원이라면 월 10,320 × 130 = 1,341,600원
- 주 20시간, 주 5일 근무(하루 4시간): 주휴 4시간 인정 → (20 + 4) × 52 ÷ 12 ≈ 104시간 월 ≈ 10,320 × 104 = 1,073,280원
- 주 12시간, 주 3일 근무(하루 4시간): 주 15시간 미만 → 주휴 없음 → 12 × 52 ÷ 12 = 52시간 월 = 10,320 × 52 = 536,640원
⑤ “주휴 포함”과 “미포함”의 차이
이 계산기는 선택값으로 주휴 포함/미포함을 제공합니다. “포함”을 선택하면 위와 같이 주휴 1일분을 반영해 월환산시간이 커지고, “미포함”은 순수 근로시간만 반영합니다. 실제 급여명세는 사업장 규정(소정근로·주휴 요건)과 법령에 따릅니다.
⑥ 포함·제외되는 수당에 관해
최저임금 적정 여부를 볼 때는 기본급과 일부 고정수당이 포함될 수 있으나, 연장·야간·휴일근로수당, 퇴직급여, 단체협약상의 특정 복리후생비 등은 원칙적으로 별도로 취급합니다. 실제 판단은 고시·판례·단체협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인사·노무 담당자 또는 노무사와 상담이 안전합니다.
⑦ 자주 묻는 질문
월 209시간은 절대값인가요?
아닙니다. 표준 비교값입니다. 주당 시간·주휴 요건에 따라 실제 월 환산시간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월급제인데 시급 비교는 어떻게 하나요?
월급을 209로 나눠 비교 시급을 구해 최저임금 이상인지 점검합니다. 연장·야간·휴일수당은 계산기에 포함되나요?
아니요. 이 계산기는 기본 시급 × 월환산시간(세전)만 산출합니다. 가산수당은 별도입니다.
📝 알아두면 좋은 점
- 표시 금액은 세전입니다. 4대 보험·소득세 공제 후 실수령액은 더 낮습니다.
- 주휴수당 요건 충족 여부와 근로일수·근로시간은 근로계약서(소정근로) 기준을 따릅니다.
- 연장·야간·휴일근로 가산은 별도이며, 수습·도제 등 특례 적용 여부는 개별 확인이 필요합니다.
안내 문서는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 정보입니다. 실제 급여 산정은 관계 법령·고시·근로계약 및 사업장 규정을 우선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