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6년 대한민국 최저임금이 시급 10,3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. 알바생부터 정규직까지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되며, 월급·시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. 하지만 주휴수당이나 연장·야간·휴일 수당이 최저임금에 포함되는지, 또는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헷갈리는 분들이 많죠.
이 글에서는 2026년 최저임금의 실제 적용 방식부터 수당 계산법, 월 환산 금액까지 실무에 꼭 필요한 내용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.

1. 2026년 최저임금은 얼마인가요?
- 시급: 10,320원 (2026년 1월 1일부터 적용)
- 전년 대비 인상률: 약 2.9% (2025년 시급 10,030원 대비)
- 월 환산 금액: 약 2,156,880원 (209시간 기준)
📌 주 40시간 근무 + 주휴 8시간 포함 → 월 209시간 기준
2. 월급은 어떻게 계산하나요?
최저시급은 주휴수당 포함 시 사실상 더 높아집니다.
항목 | 계산 방식 | 금액 |
---|---|---|
기본 시급 | 2026년 기준 시급 | 10,320원 |
월 환산 급여 | 10,320 × 209시간 | 2,156,880원 |
주휴수당 포함 시급 | 시급 × 1.2 | 12,384원 |
연장근로수당 | 통상시급 × 1.5 | 15,480원 |
야간근로수당 | 시급 × 1.5 (22:00~06:00) | 15,480원 |
휴일근로수당 | 통상임금 × 1.5~2.0 | 조건별 상이 |
💡 주휴수당: 주 15시간 이상 근로자에게 주 1회 유급휴일 8시간 부여
3. 최저임금에 수당이 포함되나요?
포함되지 않습니다. 다음 수당은 최저임금과 별도로 지급됩니다:
- 연장근로수당: 주 40시간 초과 근무 시, 시급의 1.5배
- 야간근로수당: 밤 10시~새벽 6시, 시급의 1.5배
- 휴일근로수당: 공휴일 또는 일요일 근무 시, 1.5~2배
4. 최저임금을 실제 시급/급여에 적용하는 방법
2026년부터 적용되는 최저임금 시급 10,320원은 모든 사업장에서 의무적으로 적용됩니다.
그러나 실제 급여에 적용할 때는 근로시간, 주휴수당, 수당의 계산 방식 등 여러 요소를 정확히 이해해야 합니다.
①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시급 확인
- 근로계약서에 시급 10,320원 이상이 명시되어야 법적으로 문제가 없습니다.
- 만약 시급이 10,320원보다 낮게 적혀 있다면, 최저임금법 위반에 해당합니다.
② 주휴수당 포함 여부 확인
-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, 주 1일 유급휴일이 발생하며 이를 ‘주휴수당’이라 합니다.
- 이 경우 실질 시급은 10,320원 × 1.2 = 12,384원이 되어야 합니다.
- 주 15시간 미만 근로자는 주휴수당이 없으므로 시급 10,320원만 적용됩니다.
③ 급여 명세서에서 통상임금 기준 확인
- 통상임금이란 정기적이고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기본급과 일부 수당을 포함한 금액입니다.
- 월급 ÷ 총 근무시간 = 시급이 10,320원 이상이어야 법을 지킨 셈입니다.
- 연장, 야간, 휴일 수당은 최저임금 계산에서 제외되며, 별도 지급돼야 합니다.
④ 수습기간 중 시급 적용
- 수습기간(최대 3개월) 동안에는 일부 업종에서 최저임금의 90%까지 감액이 가능합니다.
- 이 경우 시급은 최소 9,288원(10,320 × 0.9) 이상이어야 합니다.
- 단, 감액 적용은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, 서면 고지와 근로자 동의가 필요합니다.
⑤ 연장·야간·휴일 수당은 별도 산정
- 연장근로수당: 시급 × 1.5 (주 40시간 초과 시)
- 야간근로수당: 시급 × 1.5 (밤 10시~새벽 6시)
- 휴일근로수당: 시급 × 1.5~2.0 (일요일, 공휴일 근무 시)
- 이 모든 수당은 기본 시급과는 별도로 지급되어야 하며, 최저임금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
📌 예시 정리
근무 조건 | 적용 시급 | 설명 |
---|---|---|
주 15시간 미만 근무 | 10,320원 | 주휴수당 미지급 |
주 15시간 이상 근무 | 12,384원 | 주휴수당 포함 실질 시급 |
수습(최대 3개월) | 9,288원 | 일부 업종 가능, 감액 기준 |
연장근로 | 15,480원 | 10,320원 × 1.5 |
💡 요약
- 시급 10,320원은 최저 기준일 뿐,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실질 시급은 더 높아져야 합니다.
- 근로계약서와 급여명세서를 통해 시급이 기준 이상인지 확인하세요.
- 연장·야간·휴일 수당은 별도로 계산되며, 최저임금과 중복되지 않습니다.
- 위 기준을 지키지 않는 경우, 고용노동부에 신고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5.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시급만 보면 되나요?
👉 아닙니다. 주휴수당 포함 여부와 전체 지급 금액 확인이 중요합니다.
Q2. 수습 기간에는 시급을 깎아도 되나요?
👉 일부 업종에 한해 최대 3개월까지 감액 가능, 법정 조건 충족 시에만 허용됩니다.
Q3. 주 15시간 미만이면 어떻게 되나요?
👉 주휴수당 미지급 대상이며, 시급 10,320원만 적용됩니다.
✅ 최종 정리
구분 | 설명 |
---|---|
2026년 최저 시급 | 10,320원 |
월 환산 임금 | 약 2,156,880원 (209시간 기준) |
주휴수당 포함 시급 | 약 12,384원 |
수당 포함 여부 | 연장·야간·휴일 수당 별도 지급 |
관련 키워드
- #2026년최저임금 #최저시급계산 #알바시급 #주휴수당계산법
- #연장수당 #야간수당포함여부 #최저임금적용법 #근로계약서작성
🔗 관련 글 더 보기
[KR10 출시 정보] 코란도 후속 SUV, 출시 시기·디자인·스펙 총정리
(2025~2026)
반구천 암각화,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
— 대한민국의 17번째 세계문화유산